| |||
시판중인 죽염과 구운소금 등 가열처리한 소금에서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다량 검출됐다.
죽염과 구운소금은 건강식품으로도 알려져 일상 식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치약등 생활용품에도 첨가되고 있어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8일 시중에 유통중인 생소금 1개 품목과 가열처리소금 24개품목(구운소금 11개,죽염 13개)에 대해 다이옥신 잔류실태를 조사한 결과,가열처리소금 16개 품목에서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생소금에서는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았다.
얼마나 검출됐나=식약청이 직접 검사한 4개 가열처리 소금에서는 최고 43.54pg TEQ/g(1pg는 1조분의 1g)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
평균 검출량은 11.09pg TEQ/g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0~2001년 식약청이 국내 다소비 식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이옥신잔류량 검사에서 최고 수준으로 검출된 어류(0.007~1.452pg TEQ/g)의 평균 잔류량보다 7.6배 이상 높은 수치다.
또 유럽연합(EU)의 식품중 다이옥신 잔류허용 기준인 식육(0.1~0.6pg TEQ/g) 어류(4pg TEQ/g) 유지(0.075~0.3pg TEQ/g)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죽염 등에 다이옥신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식약청은 "소금을 불완전 연소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얼마나 해로운가=쓰레기 등을 태울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인체 호르몬의 활동을 교란한다.
다량 섭취할 경우 암을 유발하고 생식기능을 저하시키며 태반이나 모유를 통해신생아에게도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도 소금에 대해서는 다이옥신 잔류허용 기준치가 마련돼 있지 않아 현 상황에서 죽염과 구운소금이 얼마나 몸에 해로운 지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번 검사에서 가장 많은 다이옥신이 검출된 구운소금의 경우 하루 6g만 먹어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체중 60 성인의 하루 다이옥신 허용기준치(240pg TEQ/60kg/day)를 초과한다는 점에서 다량 섭취할 경우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의 대책=가열처리 소금에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됨에 따라 식약청이 조만간 소금 제조기준을 설정키로 하는 등 정부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최근 죽염 구운소금 등이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소비가 늘고 있다는 점을염두에 둔 조치다.
식품당국이 파악하고 있는 가열처리 소금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소금 유통량의 5% 수준인 1백20억원대(1만3천8백t).80여개 제조사들이 1백60여개가열처리 소금 제품을 생산,대형 식품회사 또는 자체 유통망을 통해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식약청은 이들 제조사는 물론,관할 시도에 이번 검사결과를 통보,가열처리소금을 제조할 때 철저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조치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죽염과 구운소금은 건강식품으로도 알려져 일상 식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치약등 생활용품에도 첨가되고 있어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8일 시중에 유통중인 생소금 1개 품목과 가열처리소금 24개품목(구운소금 11개,죽염 13개)에 대해 다이옥신 잔류실태를 조사한 결과,가열처리소금 16개 품목에서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생소금에서는 다이옥신이 나오지 않았다.
얼마나 검출됐나=식약청이 직접 검사한 4개 가열처리 소금에서는 최고 43.54pg TEQ/g(1pg는 1조분의 1g)의 다이옥신이 검출됐다.
평균 검출량은 11.09pg TEQ/g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00~2001년 식약청이 국내 다소비 식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다이옥신잔류량 검사에서 최고 수준으로 검출된 어류(0.007~1.452pg TEQ/g)의 평균 잔류량보다 7.6배 이상 높은 수치다.
또 유럽연합(EU)의 식품중 다이옥신 잔류허용 기준인 식육(0.1~0.6pg TEQ/g) 어류(4pg TEQ/g) 유지(0.075~0.3pg TEQ/g)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죽염 등에 다이옥신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식약청은 "소금을 불완전 연소처리하는 과정에서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
얼마나 해로운가=쓰레기 등을 태울 때 발생하는 다이옥신은 인체 호르몬의 활동을 교란한다.
다량 섭취할 경우 암을 유발하고 생식기능을 저하시키며 태반이나 모유를 통해신생아에게도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도 소금에 대해서는 다이옥신 잔류허용 기준치가 마련돼 있지 않아 현 상황에서 죽염과 구운소금이 얼마나 몸에 해로운 지 정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다만 이번 검사에서 가장 많은 다이옥신이 검출된 구운소금의 경우 하루 6g만 먹어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정한 체중 60 성인의 하루 다이옥신 허용기준치(240pg TEQ/60kg/day)를 초과한다는 점에서 다량 섭취할 경우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것으로 보인다.
당국의 대책=가열처리 소금에 다량의 다이옥신이 검출됨에 따라 식약청이 조만간 소금 제조기준을 설정키로 하는 등 정부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최근 죽염 구운소금 등이 건강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소비가 늘고 있다는 점을염두에 둔 조치다.
식품당국이 파악하고 있는 가열처리 소금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전체 소금 유통량의 5% 수준인 1백20억원대(1만3천8백t).80여개 제조사들이 1백60여개가열처리 소금 제품을 생산,대형 식품회사 또는 자체 유통망을 통해 시중에 판매하고 있다.
식약청은 이들 제조사는 물론,관할 시도에 이번 검사결과를 통보,가열처리소금을 제조할 때 철저한 주의를 기울이도록 조치했다.
오상헌 기자 ohyeah@hankyung.com
죽염, 다이옥신 검출’ 관련한 인산죽염의 입장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인산 9회죽염 다이옥신 없다"
다이옥신 검출과 관련한 공지 사항을 정정합니다.
포항공대 측으로부터 "모든 인산죽염에서는 다이옥신이 0.000으로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다만, 다이옥신 동족체인 퓨란 성분이 9회죽염 0.002, 3회죽염 0.2, 1회죽염 0.4가 검출되었다"는 자료를 받았습니다.
퓨란은, 일반적으로 다이옥신은 아니며, 넓은 의미에서 다이옥신류로 분류되는 물질입니다.
아시다시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열처리소금(구운소금 및 죽염)에서 발암물질인 다이옥신(Dioxins)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섭취에 주의를 요한다고 밝힌바 있으며(2002년 8월 8일), 각 언론매체에서 이를 인용보도하고 있습니다.
‘포항공과대학교 환경공학부’ "인산 9회죽염 다이옥신 없다"
다이옥신 검출과 관련한 공지 사항을 정정합니다.
포항공대 측으로부터 "모든 인산죽염에서는 다이옥신이 0.000으로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다만, 다이옥신 동족체인 퓨란 성분이 9회죽염 0.002, 3회죽염 0.2, 1회죽염 0.4가 검출되었다"는 자료를 받았습니다.
퓨란은, 일반적으로 다이옥신은 아니며, 넓은 의미에서 다이옥신류로 분류되는 물질입니다.
아시다시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열처리소금(구운소금 및 죽염)에서 발암물질인 다이옥신(Dioxins)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어 섭취에 주의를 요한다고 밝힌바 있으며(2002년 8월 8일), 각 언론매체에서 이를 인용보도하고 있습니다.